리프트

휠프리4주식얼라인전용리프트42F
◦ 실용신안등록 : 제243914 적용 (카 리프트의 하강 안전구조) ◦ 실용신안등록 : 제355364 적용 ( 자동차리프트 하강 안전장치의 제어회로 및 전원회로 차단구조) ◦ 실용신안등록 : 제243913 적용 (카 리프트용 유압실린더 유체 출입구조) ◦ CE (유럽안전규격)인증 ◦ 안전을 위한 2차 하강동작 및 잠금 장치 (포토센서 작동시 비상하강 기능) ◦ 가변식 턴테이블 승강장 적용 ◦ 승강장 수평유지 기능(포토센서장착) ◦ 승강장 일체형 진입판 장착 ◦ 사이드 슬립판 일체형 ◦ 승강장 수평 록킹 시스템 (근접센서 장착) ◦ 보조 리프트(잭) 하강시 부저 울림 기능 ◦ 에어 출력부와 전기 콘센트 부착 ◦ ◦ 구조적 특징 ▪ 승강장의 길이가 4800mm으로 차량 축간의 거리가 기본적으로 3000mm이상의 제원에 적합한 사양임. ▪ 승강장의 메인 프레임에 C-형강을 사용함으로써 역학적 구조 의 뛰어난 안정성을 적용함. ▪ (차량의 동적인 특성에 대응 능력이 우수함: 처짐 및 진동) ▪ 잭의 유압 동조로 0.5톤 순수 편하중 테스트에 대한 원복 기능 100% 우수. ▪ 잭 동조의 방식을 유압의 유량 일체화를 시킴으로 정밀성을 향상 ▪ 사이드 슬립판의 IN/OUT 자유 롤링 구조-STOP기능 ▪ 사이드 슬립판 승강장 일체형 기능적 특성 ▪ MICRO-PROCESSOR 제어 방식 적용 ▪ 정격 용량 4.5톤이며, 언바란스를 제어하고 언바란스가 발생 하면 비상하강 가능 ▪ 보조 리프트(잭)의 수평을 자유롭게 조정하는 기능 ▪ 지상 100~150mm상부 구간을 2차 안전 하강범위로 하여 안전 도를 향상(선택사양) ▪ 3마력(2.2kw) 모터 능력을 향상함으로 속도 및 부하의 응답 우수 성과 작업 효율을 증대함. ▪ 승강장 편중에 의한 언바란스를 예지하는 포토센서를 적용 ▪ 잭 언바란스를 제어하고 언바란스가 발생하면 비상하강 가능 ▪ 에어 출력부와 전기 콘센트 부착으로 작업 편리성 향상, 와이어 느슨, 절단 감지 안전센서 적용
◦ 실용신안등록 : 제243914 적용 (카 리프트의 하강 안전구조) ◦ 실용신안등록 : 제355364 적용 ( 자동차리프트 하강 안전장치의 제어회로 및 전원회로 차단구조) ◦ 실용신안등록 : 제243913 적용 (카 리프트용 유압실린더 유체 출입구조) ◦ CE (유럽안전규격)인증 ◦ 안전을 위한 2차 하강동작 및 잠금 장치 (포토센서 작동시 비상하강 기능) ◦ 가변식 턴테이블 승강장 적용 ◦ 승강장 수평유지 기능(포토센서장착) ◦ 승강장 일체형 진입판 장착 ◦ 사이드 슬립판 일체형 ◦ 승강장 수평 록킹 시스템 (근접센서 장착) ◦ 보조 리프트(잭) 하강시 부저 울림 기능 ◦ 에어 출력부와 전기 콘센트 부착 ◦ ◦ 구조적 특징 ▪ 승강장의 길이가 4800mm으로 차량 축간의 거리가 기본적으로 3000mm이상의 제원에 적합한 사양임. ▪ 승강장의 메인 프레임에 C-형강을 사용함으로써 역학적 구조 의 뛰어난 안정성을 적용함. ▪ (차량의 동적인 특성에 대응 능력이 우수함: 처짐 및 진동) ▪ 잭의 유압 동조로 0.5톤 순수 편하중 테스트에 대한 원복 기능 100% 우수. ▪ 잭 동조의 방식을 유압의 유량 일체화를 시킴으로 정밀성을 향상 ▪ 사이드 슬립판의 IN/OUT 자유 롤링 구조-STOP기능 ▪ 사이드 슬립판 승강장 일체형 기능적 특성 ▪ MICRO-PROCESSOR 제어 방식 적용 ▪ 정격 용량 4.5톤이며, 언바란스를 제어하고 언바란스가 발생 하면 비상하강 가능 ▪ 보조 리프트(잭)의 수평을 자유롭게 조정하는 기능 ▪ 지상 100~150mm상부 구간을 2차 안전 하강범위로 하여 안전 도를 향상(선택사양) ▪ 3마력(2.2kw) 모터 능력을 향상함으로 속도 및 부하의 응답 우수 성과 작업 효율을 증대함. ▪ 승강장 편중에 의한 언바란스를 예지하는 포토센서를 적용 ▪ 잭 언바란스를 제어하고 언바란스가 발생하면 비상하강 가능 ▪ 에어 출력부와 전기 콘센트 부착으로 작업 편리성 향상, 와이어 느슨, 절단 감지 안전센서 적용

헤스본매립형리프트32F
◦ 실용신안등록 : 제243913 적용(카 리프트용 유압실린더 유체 출입구조) ◦ 실용신안등록 : 제243915 적용(카 리프트의 롤러지지축 보강 구조) ◦ CE (유럽안전규격)인증 ◦ 토목공사 시 리프트 설치가 용이한 매립용 스틸케이스(옵션) ◦ 최저상고가 종전에 비해 100mm낮아서 매립공사시 비용의 절감 ◦ 2중 패킹실린더 적용으로 누유방지 및 안전성 증대 ◦ 별도의 콘트롤박스 적용(리모콘적용) ◦ 롤러구동부 DU베어링 내장 ◦ 승강장의 폭과 길이를 넓혀 진입 시 더욱 안전함 ◦ 완벽한 다단식 전자 브레이크 장치 ◦ 밴과 트럭을 올리기 위한 익스텐션 장착(옵션)
◦ 실용신안등록 : 제243913 적용(카 리프트용 유압실린더 유체 출입구조) ◦ 실용신안등록 : 제243915 적용(카 리프트의 롤러지지축 보강 구조) ◦ CE (유럽안전규격)인증 ◦ 토목공사 시 리프트 설치가 용이한 매립용 스틸케이스(옵션) ◦ 최저상고가 종전에 비해 100mm낮아서 매립공사시 비용의 절감 ◦ 2중 패킹실린더 적용으로 누유방지 및 안전성 증대 ◦ 별도의 콘트롤박스 적용(리모콘적용) ◦ 롤러구동부 DU베어링 내장 ◦ 승강장의 폭과 길이를 넓혀 진입 시 더욱 안전함 ◦ 완벽한 다단식 전자 브레이크 장치 ◦ 밴과 트럭을 올리기 위한 익스텐션 장착(옵션)

헤스본2주식리프트-25H
유압실린더 유체 출입구조 (실용신안등록 : 제243913호) 발끼임방지용 하강제어 회로 및 전원회로 차단(실용신안등록 :제355364호) CE 유럽안전인증 가변 전륜 턴 테이블을 적용하여 정비의 다양화 편하중 발생으로 링크의 비틀림이 생길 경우를 대비 탄성을 보강하여 복원력을 증가시킨 2중 아암프레임 장치 하부 정비작업을 위한 작업등 부착으로 더욱 편리한 작업진행 상, 하강시 메인 록킹 부분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록킹 근접센서 사이드 슬립판 일체형 하부 작업시 사용이 편리한 센터 잭 스위치 일관성 있고 조작이 간편한 스탠드형 콘트롤 박스 승강장 길이가 520mm 더 길어져 휠 얼라인먼트 정비 편의성 증대 발 끼임 방지용 2차 하강장치 적용 승강장 일체형 진입판 적용 구조적 특징 승강장의 길이가 4500mm으로 차량 축간의 거리가 기본적으로 3000mm이상의 제원에 적합한 사양임 승강장의 메인 프레임에 C-형강을 사용함으로써 역학적 구조 의 뛰어난 안정성을 적용함. (차량의 동적인 특성에 대응 능력이 우수함: 처짐 및 진동) 동조바아의 탄성복귀 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동조 아암의 2중 프레임 채택 상하부 롤러의 구동 특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밀폐형 무급유 볼 구름 베어링을 적용하여 영구적 사용 가능 동조빔의 방식을 링크와 일체화를 시킴으로 정밀성을 향상 (실용신안: 제 282499호) 승강장 내장형 사이드 슬립판의 IN/OUT 자유 롤링 구조 정격 용량 2톤의 전,후 유압 센터 롤링 잭 적용 기능적 특성 MICRO-PROCESSOR 제어 방식 적용 발, 무릎 및 손의 접근 보호를 위하여 하강시 2-차 하강 기능과 부져 기능을 적용 지상 100~150mm상부 구간을 2차 안전 하 강 범위로 하여 안전도를 향상(선택사양) 3마력(2.2kw) 모터 능력을 향상함으로 속도 및 부하의 응답 우수 성과 작업 효율을 증대함. 잠금시 잠금톱니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록킹 안전센서 적용 (실용신안: 제 277288호) 승강장 센터에 잭 스위치 적용 보조 리프트(잭)의 독립 동작 제어를 하고 리모콘 동작기능으 로 편리한 작업응답 능력 적용 차량 하체 작업 시 작업자 편의를 위한 형광등 적용 넓이에 따라 조정 가능한 전륜 턴테이블
유압실린더 유체 출입구조 (실용신안등록 : 제243913호) 발끼임방지용 하강제어 회로 및 전원회로 차단(실용신안등록 :제355364호) CE 유럽안전인증 가변 전륜 턴 테이블을 적용하여 정비의 다양화 편하중 발생으로 링크의 비틀림이 생길 경우를 대비 탄성을 보강하여 복원력을 증가시킨 2중 아암프레임 장치 하부 정비작업을 위한 작업등 부착으로 더욱 편리한 작업진행 상, 하강시 메인 록킹 부분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록킹 근접센서 사이드 슬립판 일체형 하부 작업시 사용이 편리한 센터 잭 스위치 일관성 있고 조작이 간편한 스탠드형 콘트롤 박스 승강장 길이가 520mm 더 길어져 휠 얼라인먼트 정비 편의성 증대 발 끼임 방지용 2차 하강장치 적용 승강장 일체형 진입판 적용 구조적 특징 승강장의 길이가 4500mm으로 차량 축간의 거리가 기본적으로 3000mm이상의 제원에 적합한 사양임 승강장의 메인 프레임에 C-형강을 사용함으로써 역학적 구조 의 뛰어난 안정성을 적용함. (차량의 동적인 특성에 대응 능력이 우수함: 처짐 및 진동) 동조바아의 탄성복귀 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동조 아암의 2중 프레임 채택 상하부 롤러의 구동 특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밀폐형 무급유 볼 구름 베어링을 적용하여 영구적 사용 가능 동조빔의 방식을 링크와 일체화를 시킴으로 정밀성을 향상 (실용신안: 제 282499호) 승강장 내장형 사이드 슬립판의 IN/OUT 자유 롤링 구조 정격 용량 2톤의 전,후 유압 센터 롤링 잭 적용 기능적 특성 MICRO-PROCESSOR 제어 방식 적용 발, 무릎 및 손의 접근 보호를 위하여 하강시 2-차 하강 기능과 부져 기능을 적용 지상 100~150mm상부 구간을 2차 안전 하 강 범위로 하여 안전도를 향상(선택사양) 3마력(2.2kw) 모터 능력을 향상함으로 속도 및 부하의 응답 우수 성과 작업 효율을 증대함. 잠금시 잠금톱니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록킹 안전센서 적용 (실용신안: 제 277288호) 승강장 센터에 잭 스위치 적용 보조 리프트(잭)의 독립 동작 제어를 하고 리모콘 동작기능으 로 편리한 작업응답 능력 적용 차량 하체 작업 시 작업자 편의를 위한 형광등 적용 넓이에 따라 조정 가능한 전륜 턴테이블

시저스리프트51G
◦ 실용신안등록 : 제243913 적용(카 리프트용 유압실린더 유체 출입구조) ◦ 실용신안등록 : 제243915 적용 (카 리프트의 롤러 지지축 보강구조) ◦ CE (유럽안전규격)인증 ◦ 마이컴 적용 제어방식 적용 ◦ 휠얼라인먼트 작업이 가능하도록 2대의 2단 잭이 장착 ◦ 휠 얼라인먼트 센서선 처리 닥트를 기본 장착 ◦ 자동화 된 록킹 장치로 더욱 편리하고 안전한 정비 작업 ◦ 정밀 동조의 와이어 로프를 2선식 설계로 얼라인먼트 측정을 위한 장비의 정밀도를 향상 ◦ 2단잭의 동력원으로 유압(옵션)을 사용하여 소음및 진동을 줄이고 리모콘으로 사용 ◦ 2단잭의 이동 범위를 전후로 확대하여 작업 공간을 넓힘 ◦ 복잡한 전기 회로를 전자식 P.C.B.판으로 전환하여 안정된 회로 구성과 손쉬운 수리 작업 ◦ 정밀한 수평구조를 위한 동조 빔, 동조 와이어, 동조 밸브의 3중시스템을 적용 ◦ 쇼트 블라스터 분체도장 처리를 통한 미려한 외관으로 제품의 격을 한차원 높힘 ◦ 압축력만 받도록 설계된 로드봉과 안전을 위한 2중 팩킹의 유압 실린더로 누유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 ◦ 사용이 편리하도록 장착된 리모콘 기능(옵션) ◦ 안전에 안전을 생각한 스위치 인터록 기능 ◦ 휠 베이스 범위 2,000mm~3,000m의 넓이로 정비차종의 다양화
◦ 실용신안등록 : 제243913 적용(카 리프트용 유압실린더 유체 출입구조) ◦ 실용신안등록 : 제243915 적용 (카 리프트의 롤러 지지축 보강구조) ◦ CE (유럽안전규격)인증 ◦ 마이컴 적용 제어방식 적용 ◦ 휠얼라인먼트 작업이 가능하도록 2대의 2단 잭이 장착 ◦ 휠 얼라인먼트 센서선 처리 닥트를 기본 장착 ◦ 자동화 된 록킹 장치로 더욱 편리하고 안전한 정비 작업 ◦ 정밀 동조의 와이어 로프를 2선식 설계로 얼라인먼트 측정을 위한 장비의 정밀도를 향상 ◦ 2단잭의 동력원으로 유압(옵션)을 사용하여 소음및 진동을 줄이고 리모콘으로 사용 ◦ 2단잭의 이동 범위를 전후로 확대하여 작업 공간을 넓힘 ◦ 복잡한 전기 회로를 전자식 P.C.B.판으로 전환하여 안정된 회로 구성과 손쉬운 수리 작업 ◦ 정밀한 수평구조를 위한 동조 빔, 동조 와이어, 동조 밸브의 3중시스템을 적용 ◦ 쇼트 블라스터 분체도장 처리를 통한 미려한 외관으로 제품의 격을 한차원 높힘 ◦ 압축력만 받도록 설계된 로드봉과 안전을 위한 2중 팩킹의 유압 실린더로 누유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 ◦ 사용이 편리하도록 장착된 리모콘 기능(옵션) ◦ 안전에 안전을 생각한 스위치 인터록 기능 ◦ 휠 베이스 범위 2,000mm~3,000m의 넓이로 정비차종의 다양화

오스피드2주식리프트
- 리프트가 최대 상승지점에 도달하면 리미트 자동 전원차단 : 파워 유닛, 유압회로 자동 보호 - 기둥은 수직하중만 받도록 설계되어 비틀림이 거의 없고, 강성과 안전성이 뛰어남 제원 - 능력 : 4,000 kg - 최대상승높이 : 1,811~1,898 mm - 최저상승높이 : 115~202 mm - 양정 : 1,696 mm - 상승 시간 : 37~50 sec - 하강 시간 : 30~75 sec - 전체 외폭 : 3,443 mm - 최대 높이 : 3,750 mm - 최저 높이 : 3,580 mm - 전원 및 모터 1Φ: 2.5 HP 220 V 60 Hz 3Φ: 2.0 HP 380 V 60 Hz - 자중 : 760 kg
- 리프트가 최대 상승지점에 도달하면 리미트 자동 전원차단 : 파워 유닛, 유압회로 자동 보호 - 기둥은 수직하중만 받도록 설계되어 비틀림이 거의 없고, 강성과 안전성이 뛰어남 제원 - 능력 : 4,000 kg - 최대상승높이 : 1,811~1,898 mm - 최저상승높이 : 115~202 mm - 양정 : 1,696 mm - 상승 시간 : 37~50 sec - 하강 시간 : 30~75 sec - 전체 외폭 : 3,443 mm - 최대 높이 : 3,750 mm - 최저 높이 : 3,580 mm - 전원 및 모터 1Φ: 2.5 HP 220 V 60 Hz 3Φ: 2.0 HP 380 V 60 Hz - 자중 : 760 kg